★ 대순 전경 ★/●•―‥권 지

권지(權智) 2장

고도인 2008. 7. 11. 11:13

권지(權智) 2장


1. 박공우의 아내가 물을 긷다가 엎어져서 허리와 다리를 다쳐 기동치 못하고 누워 있거늘 공우가 매우 근심하다가 증산성사가 계신 곳을 향하여 자기의 아내를 도와주십사고 지성으로 심고하였더니 그의 처가 곧 나아서 일어나느니라. 그 후 공우가 증산성사께 배알하니 웃으며 가라사대 “내환으로 얼마나 염려하였느냐” 하시니라. 또 박공우가 큰 돌을 들다가 허리를 상하여 고생하면서도 증산성사께 고하지 않았더니 하루는 증산성사를 모시고 길을 가는데 갑자기 노하여 말씀하시기를 “너의 허리를 베어 버리리라” 하시더니 곧 요통이 나았도다.


2. 증산성사께서 양지에 글을 쓰시면서 공사를 보시던 중에 김보경을 불러 “동쪽에 별이 나타났느냐 보아라” 하시니 그가 밖으로 나갔다 들어와서 “검은 구름이 가득히 하늘을 덮어서 별이 보이지 않습니다”고 아뢰니 증산성사께서 창문을 열고 동천을 향하여 헛기침을 하시니 구름이 흩어지고 별이 나타나는도다.


3. 종도 공우가 증산성사를 모시고 신경수의 집에 머물었느니라. 공우는 밤에 잠자리에서 사람 수십 명이 빛나는 하늘로부터 내려와서 증산성사께서 계신 문 밖의 뜰에서 배례하느니라. 이에 놀라서 공우는 증산성사의 등뒤에 숨었도다. 아침에 증산성사께서 꿈 이야기를 물으시거늘 공우가 그대로 아뢰니 다시 가라사대 “그들이 천상 벽악사자(天上霹惡使者)이니라” 하셨도다.


4. 공우가 증산성사를 쫓은 후로부터 순유에 자주 시종하였도다. 그는 어디서든지 머무시다가 다른 곳으로 떠나려 하실 때는 밤이면 달무리, 낮이면 햇무리가 나타나는 것을 증험하였으므로 언제든지 햇무리나 달무리만 나타나면 출입하실 줄 알고 먼저 신발과 행장을 단속하여 명을 기다리고 있노라면 반드시 불러 길을 떠나자 하셨도다. 대저 증산성사께서는 어디를 가시던지 미리 말씀하신 일이 없었도다.


5. 증산성사께서 김익찬(金益贊)을 데리고 전주 세천(細川)을 지나실 때 일본인 포수가 냇물 위에 앉아 있는 기러기 떼에게 총을 겨누고 있는 것을 보시고 가라사대 “차마 보지 못하겠노라” 하시고 왼발로 땅을 한 번 구르시고 그 자리에 서시니라. 그 찰나에 기러기 떼가 날아가는지라. 그 뒤에 증산성사께서 발을 옮기시더니 그제야 총소리가 들렸도다.


6. 증산성사께서 불가지로부터 전주로 향하여 가시는 도중에 동남쪽부터 큰 비가 몰려오기에 길 복판에 흙을 파서 침을 뱉고 흙을 덮으시는도다. 비가 그 자리에서 두 갈래로 갈라지더니 한 갈래는 동쪽으로 또 한 갈래는 서쪽으로 향하여 몰려가는도다.


7. 동리 사람들이 증산성사를 배알하고 오늘은 단오절이오니 학선암(學仙庵)에 가서 소풍하시기를 청하거늘 증산성사께서 응락하시고 자현(自賢)을 데리고 가시다가 도중에서 폭우가 쏟아지려고 하는지라. 사람들이 달음박질하여 비를 피하려고 하나 증산성사께서 자현을 불러 “천천히 갈지어다”고 이르시고 노방에 앉으셔서 담배를 피우시고 몰려오는 구름 쪽을 향하여 담배연기를 뿜으셨도다. 그리고 자리를 뜨시며 천천히 걸어 학선암에 이르시니 곧 비가 억세게 내리기 시작하였도다.


8. 김경학이 일찌기 동학에 가입하여 삼 개월 동안 시천주의 수련을 하던 중에 어느 날 꿈에 천상에 올라 증산성사를 뵈온 일이 있었노라. 증산성사께서 어느 날 “네 평생에 제일 좋은 꿈을 꾼 것을 기억하느냐” 하시니-- 경학이 증산성사를 천상에서 뵈옵던 꿈을 아뢰었도다. 그리고 그는 증산성사를 쳐다보니 선생의 지금 형모가 바로 그 때 뵈옵던 증산성사의 형모이신 것을 깨달으니라.


9. 천문을 보시려면 대체로 구름으로 하늘을 덮고 성수를 하나씩 나타나게 하여 종도로 하여금 살피게 하시기도 하셨도다.


10. 증산께서 정미년(1907년)에 와룡리 황응종의 집에 머물고 계셨도다. 증산성사께서 응종의 딸에게 앞마당에 볏짚을 깔고 청수를 올리라 하시니 그 딸이 곧 청수를 동이에 넣어 올렸더니 갑자기 뇌성 벽력이 크게 일어나며 폭우가 억수같이 쏟아졌으나 청수동이를 놓은 다섯자 가량의 둘레에는 한 방울의 빗물도 없었도다.


11. 증산성사께서 와룡리 황응종의 집에 계실 때 어느 날 담뱃대를 들어 태양을 향하여 돌리시면 구름이 해를 가리기도 하고 걷히기도 하여 구름을 자유자재로 좌우하셨도다.


12. 황응종의 아들이 병으로 위급하게 되었기에 응종이 청수를 떠놓고 멀리서 증산성사가 계신 곳을 향하여 구하여 주실 것을 두 손을 모아 발원하였더니 아들의 병세가 나으니라. 이튿날 응종이 동곡 약방으로 가서 증산성사께 배알하니 가라사대 “내가 어제 구름 속에서 내려다보니 네가 손을 모으고 있었으니 무슨 연고이냐”고 물으시므로 응종이 사유를 자세히 아뢰었더니 증산성사께서 웃으셨도다.


13. 증산성사께서 황응종, 김갑칠을 데리고 원평 앞 다리를 지나려고 하시는데 저편에서 말을 타고 세 사람이 오는지라. 이것을 보시고 왼발로 길바닥을 한 번 구르고 다리 머리에서 걸음을 멈추고 서셨도다. 달려오던 말이 갑자기 움직이지 않으니 세 사람이 온갖 힘을 다 쓰나 말은 꼼짝달싹하지 않으므로 그들이 이상히 생각하느니라. 그 중의 한 사람이 사방을 둘러보다가 다리를 건너와서 증산성사께 절하고 “길을 좀 비켜주십사”고 청하기에 증산성사께서 웃으시며 한쪽으로 비켜서시니 그제야 말굽이 떨어지고 그들은 오던 길을 갔도다.


14. 증산성사께서 종도들을 데리고 순창 피노리 주막에 머무르셨다가 태인 백암리로 가시는 도중에 폭우가 계속되었으나 한 방울의 비도 맞지 않으셨도다.


15. 증산성사께서 五월에 태인 백암리로 가실 때 김경학의 집에서 불이 나서 바람을 타기 시작하여 화재가 위험하게 되니라. 증산성사께서 “이 불을 끄지 않으면 동리가 위태로우니라”고 말씀하시고 크게 바람을 일으켜 불을 끄시니라. 경학은 바람으로써 불을 끄는 법도 있다면서 탄복하였도다.


16. 김명칠(金明七)은 태인 백암리에 사는 종도인데 산비탈에 땅을 개간하여 거름을 주고 담배를 심어 가꾸었도다. 하루는 번개가 치고 비가 세차게 퍼붓느니라. 비탈진 산전에 거름을 준 후라 억수가 내리면 거름은 물론 밭두둑까지 사태가 나는 것이 상례이기에 명칠이 가슴을 치며 “내 농사는 이것뿐인데 이 억수로 버리게 되었으니 어찌 살랴”고 울음을 터뜨렸도다. 증산성사께서 긍휼히 여겨 “내가 수재를 면케 하리니 근심 걱정하지 말지어다”고 이르시니 내리던 비가 개는지라. 명칠이 산전에 뛰어 올라가 보니 다른 사람의 밭은 모두 사태가 났으나 자기 밭만은 조금도 피해가 없었도다. 명칠은 새삼스럽게 증산성사를 공경하는 마음을 게을리 하지 않았느니라.


17. 六월 중복날 증산성사께서 대흥리 부근 접지리(接芝里) 마을에서 경석을 비롯하여 여러 종도들을 만나 그들에게 이르시기를 “중복인 오늘에 뇌성이 울리지 않으면 농작물에 충재의 해가 있으리라.” 날이 저물도록 우레 소리가 없기에 증산성사께서 하늘을 향하여 “어찌 생민의 재해를 이렇게도 좋아하느뇨”고 꾸짖으시고 종도에게 마른 짚 한 개만 가져오게 하시고 그것을 무명지에 맞추어 잘라서 화롯불에 꽂고 다 태우시니라. 갑자기 번개가 북쪽에서만 번쩍이니 다시 증산성사께서 “북쪽 사람만 살고 타 곳 사람은 죽어야 옳으냐”고 하늘을 향하여 꾸짖는 듯이 소리를 치시니 사방에서 번개가 번쩍이고 천둥이 쳤도다.


18. 한여름에 정읍의 버들리에서 젊은 여자가 범에게 물려 갔는데 이도삼이 정읍 수통목에 계시는 증산성사를 찾아뵈옵고 그 일을 아뢰니라. 증산성사께서 그 말을 들으시고 공우에게 “하늘에 좀성이 나타났는가 보라” 하시니 공우가 밖에 나갔다 들어와서 나타나 있음을 아뢰니 증산성사께서 베고 계시던 목침으로 마룻장을 치시며 “좀성아, 어찌 무고히 사람을 해하느뇨”고 꾸짖으셨도다. 이튿날에 그 여자가 몸에 조그마한 상처만을 입고 살아 돌아왔느니라.


19. 가뭄이 심할 때에 비를 내리게 하시고 청수동이에 소변을 조금 타서 오곡을 잘 되게 하시고 충재가 있을 때에 청수동이에 고춧가루를 풀어 넣고 충재를 없앴도다.


20. 정성원(鄭性元)이 동곡 이장으로서 세금을 수납하다가 뜻하지 않게 수천 냥을 축내었던 바 무신년이 되어 관부로부터 빗발치듯이 독촉하기에 마음의 갑갑함을 풀 길이 없어 술에 진탕 취해서 “내가 국세를 먹었으니 내 배를 가르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면서 온 동리를 헤매었다. 증산성사께서 그 고함을 듣고 그를 불러놓고 “너무 염려하지 말라. 장차 무사하게 되리라”고 무마하셨도다. 과연 무기 세금(戊己稅金)이 면제되었도다.


21. 증산성사께서 신원일을 데리고 태인 관왕묘 제원(關王廟祭員) 신경언(辛敬彦)의 집에 이르러 머물고 계실 때 그와 그의 가족에게 가라사대 “관운장이 조선에 와서 받은 극진한 공대의 보답으로 공사 때에 반드시 진력함이 가하리로다” 하시고 양지에 글을 써서 불사르시니 경언은 처음 보는 일이므로 괴이하게 생각하였도다. 이튿날 경언과 다른 제원이 관묘에 봉심할 때 관운장의 삼각수 한 갈래가 떨어져 간 곳이 없으므로 제원들은 괴상하게 여겼으되 경언은 증산성사께서 행하신 일이라 생각하고 공사에 진력하기 위하여 비록 초상으로도 그 힘씀을 나타내는 것이라 깨달았도다.


22. 증산성사께서 공사를 행하실 때나 어느 곳을 정하고 머무실 때에 반드시 종도들에게 정심할 것을 이르셨도다. 방심하는 자에게 마음을 꿰뚫어보신 듯이 일깨우고 때로는 증산성사께서 주무시는 틈을 타서 방심하는 자에게 마음을 통찰하신 듯이 깨우쳐 주고 방심을 거두게 하시니라.


23. 종도들이 태좌(胎座)법으로 둘러앉아 있을 때는 언제나 조금도 움직이지 못하였느니라. 증산성사께서 벽을 향하여 누우셔서 주무실 때에도 종도들의 움직임을 꾸짖으시니 종도들은 그 밝으심이 자고 깨심과 친히 보고 안 보심이나 또한 멀고 가까움이 없음을 깨닫고 더욱 심신의 연마에 힘썼도다.


24. 박공우가 증산성사의 명을 받들어 각처를 순회하다가 어느 곳에서 증산성사를 믿지 않고 비방하는 것을 듣고 돌아와서 증산성사께 아뢰니 증산성사께서 미리 알고 “어디서 무슨 부족한 일을 보고 당하여도 큰 일에 낭패될 일만 아니면 항상 남을 좋게 말하기를 힘쓰라”고 타이르셨도다.


25. 증산성사께서 추운 겨울 어느 날 창조의 집에 오셔서 벽력표(霹靂票)를 땅에 묻으시니 번개가 번쩍이고 천둥이 천지를 진동하니라. 이튿날 증산성사께서 동곡 약방으로 행차하셨도다.


26. 증산성사께서 일주일 동안 계속 코피를 흘리시더니 갑칠에게 관을 만들게 하고 감주 한 그릇을 잡수시니 곧 원기를 회복하셨도다. 이 때에 광찬과 갑칠의 사이에 생긴 갈등을 증산성사께 아뢰니 벌써 알고 계시니라.


27. 증산성사께서 어느 날 말씀하시되 “너는 나로 하여금 오래 살기를 바라는도다” 하시고 글 한 수를 외우셨도다.

稚子哭問母何之 爲道靑山採藥遲 日落西山人不見 更將何說答啼兒

치자곡문모하지 위도청산채약지 일낙서산인불견 갱장하설답제아


◐ 어린 아이가 울면서 엄마가 어디 갔느냐고 물으니, 청산에 약을 캐러 가서 늦는다고 하였다. 해는 서산에 지고 사람은 보이지 않으니, 장차 다시 물으면 다시 무슨 말로 우는 아이에게 대답을 하리요?


또 다시 남원(南原) 양진사(楊進士)의 만사를 외워주시니 다음과 같으니라.

詩中李白酒中伶 一去靑山盡寂寥 又有江南楊進士 鷓鴣芳草雨蕭蕭

시중이백주중령 일거청산진적요 우유강남양진사 자고방초우소소


◐ 시(詩)를 잘 짓고 술을 벗 삼던 이태백도 청산에 한번 들어가더니 죽어 고요하구나. 또 강남에 양진사도 청산에 한번 들어가더니 녹음방초 우거지고 비바람은 부는데 그 쓸쓸함이 자고새와 같더라. 이 말씀은 박 우당이 운수 줄줄 알고 좋아하고 믿고 따랐는데 청산에 한번 들어가더니 죽어서 말이 없는데 왜 죽은 사람을 믿고 기다리는가? 오래 살기를 바란다면 강남 갔던 제비가 다시 오듯이 증산성사의 再生身(재생신)을 찾아라. 그러면 나로 하여금 오래 살리라. 고 해석이 된다.

◐ 박우당께서는 조정산성사를 조성옥황상제(玉皇上帝)라고 밝히셨다. 그런데 조정산성사를 따르던 태극도인들은 조정산성사의 신위를 인위적으로 지어내어 ‘옥황조성상제’라고 하였다.
‘옥황상제(玉皇上帝)’라는 하느님의 이름은 중국의 4대 기서(奇書) 중 하나인 『서유기(西遊記)』에도 그 이름이 기록되어 있는데, 『서유기(西遊記)』를 보면, 옥황상제는 천상계(天上界)의 모든 일을 관장하는 하느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옥황상제라는 하느님의 이름은 동양의 고서(古書)에는 셀 수 없이 많이 나온다. 즉 ‘옥황상제(玉皇上帝)’는 그 자체로 하느님의 이름이다. 이 이름은 나뉘어질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성옥황상제(趙聖玉皇上帝)’를 ‘옥황조성상제(玉皇趙聖上帝)’라 하는 것은 ‘고건 서울시장’을 ‘서울시 고건장’이라고 하는 것과 같은 우를 범한 것이다. 그러므로 둘 다 잘못된 것이다. 그리고 세속에서는 부엌의 솥 위에다 조왕신을 모신다. 이때 조왕은 부엌을 관장하는 신(神)이요, 부엌은 모든 음식을 만드는 곳이다. 사람은 이 음식을 먹어야만 산다.

*조왕신 : 부엌을 관장하는 신(神)이다. 신체(神体)는 종지에 담긴 물이며, 솥 위쪽의 부뚜막에 모시는데 아침마다 물을 갈아준다. 모든 부정을 가시게 하여 신성하게 하고 생명력을 불어넣어 주는 가운(家運)의 상징이기도 하다.


28. 증산성사께서 신경수의 집에서 공사를 보시고 계실 때 시좌하고 있던 윈일에게 “네가 동천에 붉은 옷을 입고 구름 속에 앉은 사람에게 네 번 절한 일이 있었는데 기억이 있느냐”고 회상을 촉구하시더니 원일이 문득 깨닫고 일어나 증산성사께 네 번 절하니 옆에 앉아 있던 종도들이 까닭을 모르고 물으니라. 그는 옷깃을 다시 여미고 정중히 앉아 이야기하되 “수년 전에 갑자기 병이 들어 사경에 빠져 정신이 황홀하여지는데 어떤 사람이 사인교를 타고 가다가 나를 보고 네가 새 옷으로 갈아입고 문밖에 나가서 동쪽 하늘을 바라보면 구름 속에 붉은 옷을 입은 분이 앉아 계시리니 그 분에게 절을 사배하라. 그러면 너의 병이 나으리라고 이르기에 그대로 행하였더니 병이 나았다”고 하니라.


29. 김경학이 무신년(1908년) 五월에 고부 와룡리 문공신의 집에 가서 증산성사를 뵈오니 증산성사로부터 “내일 일찍 태인 살포정에서 만나자”고 분부를 받고 집으로 돌아갔다가 이튿날 조반 후에 살포정에 이르니 그 주막에서 행객 두 사람이 싸우고 있고 증산성사께서는 큰길가의 높은 언덕에 돌아앉아 계시기에 올라가 인사를 드리니 인사만 받으시고 여전히 돌아앉으신 채 언짢게 계시는도다. 그는 까닭을 모르고 송구한 마음으로 모시고 서 있노라니 잠시 후에 증산성사께서 싸우는 사람들을 향하여 “그만두라”고 말씀하시자 그들이 싸움을 그치고 제 길을 가는지라. 그 때에야 경학이 “어떤 사람들이 싸웠나이까”고 여쭈어 보았더니 증산성사께서 “우리 겨레에서 정 감(鄭 堪)을 없앴는데도 세상에서 정 감의 노래가 사라지지 아니하기에 혹시 이(李)씨가 정(鄭)씨의 화를 받을까 염려스러워 이제 그 살을 풀고자 이씨의 기운을 돋우고 정씨의 기운을 꺾는 공사를 보았노라” 일러주시니라.


30. 이 해 여름에 경석이 증산성사를 모셨도다. 이 때 종도들이 악사를 불러 가야금을 타게 하고 즐겁게 놀고 있었노라. 이것을 말리시면서 증산성사께서 가라사대 “내가 있는 곳에서 비록 사소한 일이라도 헛된 일을 못하느니라. 저 하늘을 보라” 하시니 구름도 같은 기운이 종도들이 놀고 있는 모양을 짓고 중천에 떠 있었도다.


31. 증산성사께서 무신년 十월 김낙범을 시켜 쌀 스무 말을 깨끗하게 찧어서 약방에 저장하게 하셨는데 형렬이 쌀이 부족하여 여러 사람의 아침밥을 지어줄 수 없어서 갑칠을 시켜 약방에 둔 쌀 중에서 반 말을 갈라내어 조반을 지었더니 증산성사께서 벌써 아시고 형렬과 갑칠을 꾸짖으셨도다.


32. 이 해 겨울에 김덕찬이 아들의 혼사를 보았도다. 혼인날에 앞서 여러 친지들이 여러 가지로 부조하는 것을 보시고 증산성사께서는 결혼날의 날씨를 부조하셨도다. 이 해 겨울은 몹시 춥고 날씨가 고르지 못하였으므로 덕찬이 크게 염려하였으나 혼삿날은 봄과 같이 따뜻하므로 마음을 놓으니라. 여러 사람이 “증산성사의 부조를 받은 혼삿날이라”고 칭송하였도다.


33. 증산성사께서 계신 곳에서 다른 곳으로 옮기실 때에는 때를 가리지 않고 반드시 구름 기둥이 동구(洞口) 좌우에 깃대와 같이 높이 뻗쳐서 여덟 팔자형을 이루는 것을 종도들이 보고 아뢰이니 “이는 장문(將門)이라”일러주시니라.


◐ 이는 장문(將門)이라; 장문(將門)은 무장(武將)의 집안이란 뜻으로 증산성사는 상제가 아니고 將帥(장수)의 집안이란 뜻이다.

※ 예시 40절 참조; 문지방 안에서는 임금이 統制(통제)하고, 문지방 밖에서는 將軍(장군)이 統制(통제)한다.


34. 차경석이 어느 때 정읍 고부인이 안질로 고생하고 자기 아들 희남(熙南)이 앓아 누운 것을 증산성사께 알리려 동곡에 아우 윤경을 보내니 마을 입구에 김자현․김광찬 등 십여 명이 증산성사로부터 차윤경이 대흥리에서 나를 찾아오리라는 말씀을 듣고 마중을 나와 그를 맞았도다.


35. 이 때에 오랫동안 가물었도다. 증산성사께서 갑칠에게 청수 한 동이를 길어오게 하신 후 일러 말씀하시기를 “아래와 웃옷을 벗고 물동이 앞에 합장하고 서 있어라 서양으로부터 우사를 불러와서 만인의 갈망을 풀어주리라.” 갑칠이 말씀대로 옷을 벗고 동이 앞에 합장하여 서니 문득 검은 구름이 사방에서 일어나고 큰비가 내리니라. 이 때 증산성사께서 갑칠에게 “청수를 쏟고 옷을 입어라” 하시고 종도들에게 이르시니라. “너희들도 지성을 다하여 수련을 쌓으면 모든 일이 뜻대로 되리라.” 류찬명이 “이런 일은 세상 사람이 다 모르니 원컨대 세상 사람으로 하여금 널리 깨닫게 하여 주소서” 하고 아뢰었도다.


36. 증산성사께서 종도들이 풍․우․한․서(風雨寒暑)에 따라 불편을 아뢸 때마다 천기를 돌려서 편의를 보아주시니라. 하루는 증산성사께서 “너희들이 이후로는 추워도 춥다 하지 말고 더워도 덥다 하지 말고 비나 눈이 내려도 불평하지 말라. 천지에서 쓸데가 있어서 하는 일이니 항상 말썽을 부리면 역천이 되나니라”고 말씀하셨도다.


37. 증산성사께서 하루는 종도들에게 “진묵(震黙)이 천상에 올라가서 온갖 묘법을 배워 내려 인세에 그것을 베풀고자 하였으나 김봉곡(金鳳谷)에게 참혹히 죽은 후에 원(冤)을 품고 동양의 도통신(道通神)을 거느리고 서양에 가서 문화 계발에 역사하였나니라. 이제 그를 해원시켜 고국(故國)으로 데려와서 선경(仙境) 건설에 역사케 하리라”고 말씀하셨도다.


38. 증산성사께서 김형렬을 불러 물으셨도다. “네가 나의 사무를 담당하겠느냐.” 형렬이 “재질이 둔박하와 감당치 못할까 하나이다”고 대답하는 것을 들으시고 증산성사께서 꾸짖으시니 형렬이 대하여 “가르치심에 힘입어 담당하겠나이다”고 여쭈니 증산성사께서 “무한 유사지 불명(無恨有司之不明)하라. 마속(馬謖)은 공명(孔明)의 친우로되 처사를 잘못하므로써 공명이 휘루참지(揮淚斬之)하였으니 삼가할지어다”고 일러주셨도다.


◐ 무한 유사지 불명(無恨有司之不明); 일을 맡아 그것을 분명하게 처리하지 못하여 한을 남기지 않도록 하라. 마속이 공명의 친우로되 처사를 잘못함으로써 공명이 눈물을 뿌리며 그를 베었다 하였으니 삼가할 것이다.

※ 휘루참지(揮淚斬之); 제갈공명이 신임하던 마속(馬謖)이 ‘가정의 길목을 막고 위군 한 명도 통과시키지 말라’는 공명의 명령을 어기고 산 위에 진을 치므로 인하여 작전에 실패하였다. 공명은 마속과 신의가 두터웠으나 북벌 때 공명이 군율로 내린 작전 명령을 어겼으므로 군법의 준엄성을 보여주기 위해 눈물을 흘리면서 마속을 처형할 수밖에 없었다하여 휘루참지(揮淚斬之) 혹은 읍참마속(泣斬馬謖)이라 한다.


'★ 대순 전경 ★ > ●•―‥권 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지(權智) 1장  (0) 2008.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