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원한 생명의 뿌리 나반과 아만
나는 한자로 아我이다. 나의 유전인자는 선천 5만 년 전 인류의 첫 조상인 나반那般과 아만阿曼으로부터 왔다. 형체는 한어머니로부터 받았으니 그것은 ‘아’이며, 그 유전인자는 한아버지로부터 받았으니 그것은 ‘나’이다. ‘나’와 ‘아’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것은 ‘ㅏ’다. ‘ㅏ’란 오행으로 목木이다. 목이란 하늘의 덕성인 원형이정의 원元으로서 생명의 근본이다.
‘ㄴ’과 ‘ㅇ’를 비교하면 ‘ㄴ’은 화火이고, ‘ㅇ’은 수水다. 수화란 오행의 부모를 말한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ㄴ’은 ‘ㄴ’, ‘ㄷ’, ‘ㅌ’으로 삼변하는 화자음火子音의 기본이 되고, ‘ㅇ’은 ‘ㅇ’, ‘ㆆ’, ‘ㅎ’으로 삼변하는 수자음水子音의 기본이 됨으로, 각기 자음의 서열에 있어 ‘ㅇ’은 1이 되고, ‘ㄴ’은 2가 된다. 1과 2는 기본 양과 기본 음으로서 모든 자연수의 부모다.
‘반’과 ‘만’의 뜻을 알려면 광명 사상을 알아야 한다. 광명사상의 근원은 ‘환桓, 단檀, 한韓’이다 ‘환’은 천광명이고, ‘단’은 지광명이고. ‘한’은 인광명이다. 이것을 삼광三光이라고 하는데, 대원일의 이치에 의하여 이 삼광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있는 정신이 바로 ‘안安’이다.
‘안’은 광명의 본체로서, 이 안이 음양으로 분화하면 그것은 바로 ‘만曼’과 ‘반般’이다. 그러므로 ‘만’과 ‘반’의 통일체는 ‘안’이다. 그렇다면 이 ‘안’을 음양으로 분화시킨 것은 다름 아닌 ‘ㅁ’과 ‘ㅂ’이다. ‘ㅁ’과 ‘ㅂ’은 오행으로 토土다. 토성 자음은 ‘ㅁ’, ‘ㅂ’, ‘ㅍ’으로 삼변하는데 토 가운데서 ‘ㅁ’과 ‘ㅂ’은 각기 1과 2로서 3인 ‘ㅍ’의 부모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여기에서 나반의 후예인 환국 천제 ‘안파견’ 환인의 ‘안’과 ‘ㅍ’음이 들어간 ‘파’의 유래를 넉넉히 짐작할 수 있다.
나반과 아만이 처음 만난 곳을 ‘아이사타阿耳斯它’, 또는 ‘사타려아斯它麗阿’라고 한다. 단군조선의 처음 도읍지를 아사달阿斯達이라고 불렀다. 지금의 흑룡강성 하얼삔 지역이다. ‘아사’란 아침 해가 비춘다는 뜻이다. 그 아사는 바로 아이사타의 ‘아’와 ‘사’ 그리고 ‘사타려아’의 ‘사’와 ‘아’에서 온 말이다. 달리 아이사타의 ‘아’와 사타려아의 ‘사’를 합친 말이라 하여도 되겠다.
‘아이사타’의 ‘이耳’는 귀로서 수水를 상징하고 ‘타它’는 뱀이니 화火를 상징한다. 이것은 달리 말해 수화가 합궁하여 목木을 생하는 것을 말한다. ‘아’와 ‘사’는 목광명木光明을 뜻한다. 목광명이란 생명의 탄생이며, 동방에 떠오르는 일출을 말한다. 귀는 음을 듣는 기관이며, ‘타’란 뱀의 뜻이 있으니 이것은 불[火]을 말한다. 그러므로 나반과 아만은 귀로는 우주의 소리를 듣고, 눈으로는 천지의 광명을 본 것이 된다. 그 후 나반과 아만은 우주의 삼신과 하나 되어 천하를 건넜으니 이날이 바로 칠월칠석이다.
사타려아의 ‘려’는 ‘광명이 빛나다’는 뜻이니 광명의 뜻을 더욱 분명히 한 것이다. ‘麗’는 ‘광명이 높이 빛나는 나라’ 고려高麗의 려麗가 되었다. ‘려’는 ‘ㄹ’이 탈락되어 ‘여餘’가 되기 쉬웠으니, ‘여’는 부여夫餘의 ‘여’가 되었다. ‘부여’란 먼동이 부옇게 밝아 오는 것을 말한다. ‘려’는 ‘리’의 발음이 있으니 ‘사타려아’는 ‘사타리아’가 된다. ‘리’는 다시 ‘ㄹ’음이 탈락되기 쉬웠으니 ‘사타리아’는 다시 ‘사타이아’가 된다. 그러므로 ‘아이사타’는 달리 ‘사타이아’로 불렸다 할 것이다.
돌이켜보면 ‘만曼’에는 태양이 순환하여 사시가 계속 생성됨이 있고, ‘반般’에는 배가 있으니 물을 주관하는 상이 있다. 태양은 이離괘로서 화火이고, 물은 감坎괘로서 수水다. 때문에 ‘만’과 ‘반’은 서로 그 뜻과 소리가 교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수화水火가 서로 교구하고 있는 것이다. 수화의 교구란 감이坎離의 교구이며, 감의 정 중앙 진양眞陽과 이의 정중앙 진음眞陰이 서로 고향을 찾아 진양은 이괘로 들어가고 진음은 감괘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감이의 교구란 일월이 천지의 품에 합일하는 것을 말한다.
세월이 흘러 아만과 아반은 각각 ‘어머니’와 ‘아버지’의 어원이 되었다. 더 오랜 세월이 흘러 ‘아버지’와 ‘어머니’를 모르는 금수의 시대가 되었다.
자료출처 : 개벽실제상황, 환단고기, 우주변화의 원리, 훈민정음해례본